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3

구조기반 인플루엔자 제어 (3) (structure-based influenza control) 흥미로운 점은 이들 항체 모두 바이러스 HA 단백질 stem region에 결합하는 anti-stem antibody 인데, stem region은 아미노산 변이가 매우 conserved 한 부분이다. Stem region은 바이러스 membrane 표면에 가까운 부분이면서 외부노출이 상대적으로 쉽지 않아서, stem 항원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항체는 head region 결합 항체에 비해서 면역반응 유도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2009년 pandemic virus에 감염된 환자의 plasmablast에서 항체실험을 수행한 결과 high affinity maturation을 보이는 stem 항체가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냄에 따라, stem 항체기반 유니버설 백신 및 고위험군 치료용 항.. 2013. 1. 13.
구조기반 인플루엔자 제어 (2) (structure-based influenza control) 90년대 초만 하더라도 바이러스 단백질 HA나 NA는 증식된 바이러스 particle을 protease 처리하여 얻었지만, 이후 recombinant DNA 기술을 적용하여 Escherichia coli, yeast cell, insect cell, mammalian cell 등을 이용해서 바이러스 단백질 대량 배양에 성공하였고, 특히 계란기반 백신의 알레르기 반응 문제점 때문에 세포기반 백신개발이 탄력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항원인식 epitope을 제공하는 바이러스 HA 단백질 발현은 활성을 위한 정확한 folding과 glycosylation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을 이용한 sf9과 hi5 insect cell이 주로 이용되며, 박테리아.. 2013. 1. 13.
구조기반 인플루엔자 제어 (1) (structure-based influenza control) 인플루엔자는 인수공통전염병의 대표적 바이러스 질병이다. 바이러스의 진화가 매우 빨라서 감염을 예방하려면 새로운 백신접종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어렵게 개발된 항바이러스제의 오남용과 바이러스의 빠른 변이속도에 따른 내성 바이러스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 노인, 영유아를 포함하는 고위험군이 갖는 인플루엔자 감염 취약성, 백신의 계란 알레르기 부작용 때문에, 백신의 효능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 특히 인플루엔자 백신 예방효과는 성인의 경우보다 평균적으로 노인층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노인인구가 급증하는 우리나라에서 인플루엔자 중증으로 인한 입원 및 사망에 따른 사회경제적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한 번의 백신접종으로 질병을 극복.. 2013. 1. 13.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I (Norovirus food poisoning I)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을 stomach flu라고 하며, 노로바이러스는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층에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체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은 2-3일 내에 증상이 가라앉기 때문에 무서운 질병으로 여기지 않지만, 면역기능저하 (immunosuppressed) 환자나 어린아이, 노인의 경우는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감염질환이다. 노로바이러스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인체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체이고, 미국과 유럽에서 발생하는 비세균성 장염 원인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세균성 식중독과는 달리 유럽과 미국의 경우 식품매개성 및 수인성으로 인한 집단 발병 중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2년부터 2011년까지 학교와 기업의 집단급식에서 노로.. 2012. 12. 29.